- 진보위키에 시각편집기가 도입되었습니다. 시각편집기는 위키문법을 몰라도 문서를 편집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 이 기능을 정상적으로 사용하시려면, 환경 설정에서 이메일을 인증하여 주십시오.
위키텍스트로 편집을 원하는 분, 익명 사용자, 이메일 미인증 사용자는 원본 편집 버튼을 이용하여 편집하실 수 있습니다.
대한민국의 연보/1960년대
진보위키
![]() |
이 문서는 연보입니다. 사건이나 인물, 단체 등에 대한 자세한 연대순 기록을 다룹니다. |
|
대한민국 연보 - 1960년대 |
1960년[편집 | 원본 편집]
- 3월 15일 - 제4대 대통령 선거 및 제5대 부통령 선거(무효) - 3.15 부정선거
- 4월 19일 - 4.19 혁명 발발
- 4월 26일 - 이승만 대통령 하야
- 5월 29일 - 이승만 하와이 도주, 망명
- 6월 15일 - 6.15 내각책임제 개헌. 장면 내각 성립
- 7월 29일 - 제5대 총선
- 8월 12일 - 제4대 대통령 선거(간선)
- 11월 29일 - 반민주행위자 처벌을 위한 소급입법 개헌
1961년[편집 | 원본 편집]
- 2월 21일 - 문화방송 발족
- 5월 16일 - 5.16 쿠데타 발생. 군사혁명위원회 설치
- 5월 18일 - 군사혁명위원회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칭
- 7월 3일 - 박정희 대통령,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취임
- 7월 23일 - 민족일보 사건
- 8월 12일 - 민족일보 사장 조용수에게 군사정권이 조총련과 연계하여 북한을 이롭게 했다는 누명으로 언론인 사상 처음으로 사형 선고
- 12월 2일 - 서울에 문화방송 개국
- 12월 12일 - 재향군인회 결성
- 12월 31일 - KBS TV(현 KBS 1TV) 개국
1962년[편집 | 원본 편집]
- 1월 13일 - 제1차 경제 5개년 계획 실시
- 4월 1일 - 증권거래서 보통거래 시작
- 4월 2일 - 농촌진흥청 발족
- 6월 10일 - 제2차 통화개혁
- 6월 21일 - 무역진흥공사 발족
- 8월 27일 - 우리나라 최초 자동차 공장인 새나라자동차공장 준공
- 11월 - 민정이양을 위한 헌법개정안이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의결
- 12월 17일 - 개정 헌법 국민투표
- 12월 26일 - 개정 헌법 공포(효력 발생 1963년 12월 16일)
1963년[편집 | 원본 편집]
- 1월 1일 - 부산직할시로 승격
- 4월 25일 - DBS 동아방송 개국
- 10월 15일 - 제5대 대통령 선거
- 11월 26일 - 제6대 총선[1]
1964년[편집 | 원본 편집]
- 6월 3일 - 한일회담 반대 시위 발생, 박정희 대통령이 비상계엄령 선포함
- 8월 14일 - 1차 인혁당 사건
1965년[편집 | 원본 편집]
- 1월 8일 - 1,2차에 걸쳐 우리나라가 베트남 전쟁 파병을 결정함
- 6월 22일 - 한일 청구권 협정을 맺고 우리나라가 일본과 수교함
1966년[편집 | 원본 편집]
- 5월 24일 - 박정희 대통령과 이병철 회장의 공모 아래 정부기관들이 적극 감싸고 돈 엄청난 규모의 조직적인 밀수 사건 발생 - 사카린 밀수 사건
1967년[편집 | 원본 편집]
- 5월 3일 - 제6대 대통령 선거
- 6월 8일 - 제7대 총선
- 6월 15일 - 전국 28개 대학과 57개 고등학교에 부정선거 규탄 학생 데모 관련으로 휴교령
- 7월 8일 - 동백림 사건
- 제2차 경제5개년 계획 실시
1968년[편집 | 원본 편집]
- 1월 21일 - 김신조 간첩일당이 청와대를 피습하였다
- 4월 1일 - 우리나라 예비군 창설
- 9월 19일 - 우리나라 최초 고가도로인 아현고가도로 개통
- 11월 2일 - 울진, 삼척 무장공비 침투 사건 발발, 이승복 소년 피살 사건 발생
- 12월 5일 - 박정희 정권이 국민교육헌장을 반포함
1969년[편집 | 원본 편집]
- 7월 21일 - 경인고속도로 개통
- 8월 8일 - 문화방송 TV 개국
- 9월 14일 - 3선개헌안 반칙통과
- 6월 20일 - 박정희 정권이 야당지도자 김영삼 암살시도 -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
- 10월 21일 - 개정 헌법 공포
각주[편집 | 원본 편집]
- ↑ 임기 4년